📘 비과세종합저축, 절세 통장
비과세종합저축은 예금·적금·채권·RP·펀드·ETF 등에서 발생하는 이자와 배당소득에 대해 세금이 전액 면제되는 계좌입니다. 일반적으로 금융소득에는 15.4% 세금이 붙지만, 이 계좌에서는 세금을 단 1원도 내지 않습니다.
👨🏻 비과세종합저축 가입대상
현재 비과세종합저축은 아래의 조건 중 하나에 해당하면 가입이 가능합니다.
-
만 65세 이상 고령자
-
장애인
-
국가유공자 및 유족
-
기초생활수급자
즉, 지금 65세 이상이지만 기초연금을 받지 않는 부모님이 계시다면 올해가 사실상 마지막 기회입니다.
기존에 계좌를 개설한 사람은 이후에도 계속 비과세 혜택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,
2025년 말 이전에 꼭 계좌를 만들어두는 것이 좋습니다.
🏦 비과세종합저축 가입방법
다만 일부 증권사는 비대면 개설이 가능합니다.
✅ 개설 절차
-
신분증 지참 후 은행 또는 증권사 영업점 방문
-
가입대상 확인 (만 65세 이상 등)
-
기존 주식계좌나 CMA가 있으면 근거계좌로 활용 가능
-
계좌 개설 후 원하는 상품(예금, 채권, ETF 등) 선택
✅ 비대면 개설 가능 증권사 (2025년 기준)
-
삼성증권
-
우리투자증권
-
키움증권
💸 비과세종합저축 한도와 만기
비과세종합저축은 납입 한도와 만기 조건이 유연한 절세 상품입니다.
|
항목 |
내용 |
|---|---|
|
납입 한도 |
전 금융기관 합산 5,000만 원 (원금 기준) |
|
예시 |
은행 3,000만 원 + 증권사 2,000만 원 가능 |
|
만기 |
없음 (상품별 만기만 관리) |
|
세금 |
이자·배당소득 전액 비과세 |
즉, 한 번 계좌를 만들어두면 만기 없이 평생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
🏢 비과세종합저축 증권사 vs 은행
|
비교 항목 |
은행 |
증권사 |
|---|---|---|
|
운용상품 |
예금·적금 중심 |
주식·ETF·채권 등 다양 |
|
수익률 |
고정금리형 |
시장 연동형, 수익 극대화 가능 |
|
예금자 보호 |
적용됨 |
적용 안 됨 |
|
적합 대상 |
안정형 |
중·고위험 투자자 |
증권사는 ETF·배당주 등 고수익 자산 투자로 절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.
📊 증권사별 비과세종합저축 계좌 '저축 가능 상품'
|
증권사 |
저축 가능 상품 |
ETF 투자 |
비대면 개설 |
특징 |
|---|---|---|---|---|
|
한국투자증권 |
주식, 채권, ELS, ETF, RP |
가능 |
가능 |
상품 다양성 우수 |
|
미래에셋증권 |
주식, 채권, RP, 파생결합증권 등 |
가능 |
불가 |
운용 전략 자유도 높음 |
|
삼성증권 |
채권, 펀드, 파생결합증권 |
불가 |
가능 |
안정형 상품 중심 |
|
KB증권 |
주식, ELS, 펀드, 채권 |
가능 |
불가 |
투자 포트폴리오 폭 넓음 |
|
키움증권 |
주식, ETF, RP |
가능 |
가능 |
비대면 개설 강점 |
|
우리투자증권 |
예금·채권 등 |
제한적 |
가능 |
시니어 고객 중심 서비스 |
⏰ 비과세종합저축 일몰 시점
![]() |
| 출처 : 금융감독원 |
2026년부터는 기초연금 수급자만 신규 개설이 허용될 예정입니다.
즉, 지금 계좌만 만들어두면 2026년 이후에도 기존 계좌에 대한 비과세 혜택은 평생 유지됩니다.
🧾 비과세 절세 효과 예시
|
구분 |
일반계좌 |
비과세종합저축 | ||
|---|---|---|---|---|
|
투자금액 |
50,000,000원 |
50,000,000원 | ||
|
연수익률 |
5% |
5% | ||
|
배당·이자소득 |
2,500,000원 |
2,500,000원 | ||
|
세금 |
약 385,000원 |
0원 | ||
|
실수령액 |
2,115,000원 |
|
⚠️ 주의사항
-
투자상품은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으며, 예금자 보호 대상이 아닙니다.
-
증권사마다 ETF·주식 가능 여부, 수수료, 이벤트 조건이 다릅니다.
-
2026년부터는 기초연금 수급자만 신규 가입 가능 예정입니다.
-
계좌를 개설했다면 해지하지 않는 이상 비과세 혜택은 계속 유지됩니다.
📚 자주 묻는 질문 (FAQ)
Q1. 언제까지 가입할 수 있나요?
→ 2025년 12월 31일까지 신규 가입 가능. 이후엔 기초연금 수급자만 대상입니다.
Q2. 이미 계좌를 개설했는데, 내년에도 유지되나요?
→ 네. 일몰 이후에도 기존 계좌는 유지되며 계속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
Q3. 은행과 증권사 둘 다 개설할 수 있나요?
→ 가능하지만, 총 한도는 전 금융기관 합산 5,000만 원입니다.
Q4. ETF나 주식 투자 가능한가요?
→ 일부 증권사(한국투자·키움·미래에셋 등)에서는 가능합니다.
단, 삼성증권은 ETF 매매 불가이므로 확인 필요합니다.
Q5. 부모님 대신 제가 개설해드릴 수 있나요?
→ 본인 직접 방문 또는 본인 명의 인증만 가능하며, 위임 개설은 불가합니다.


0 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