상생페이백 여러개 카드사별 등록·변경 쉬운 가이드


먼저, 이것부터 체크하세요!

  • 기간: 9/1(월) ~ 11/30(일)

  • 대상: 만 19세 이상 + 2024년에 카드 쓴 기록이 있는 분(외국인등록증 있는 국내 거주 외국인 포함)

  • 혜택: ’24년 월평균 대비 ’25년 9·10·11월 ‘각 월’ 증가분의 20%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

    • 월 최대 10만 원, 총 30만 원 한도

  • 신청: 상생페이백.kr (9/15 09:00 ~ 11/30 24:00, 첫 주는 5부제)

  • 지급일: 10/15(9월분) · 11/15(10월분) · 12/15(11월분) (최대 2일 분산 지급 가능)

  • 사용처: 디지털 온누리 가맹점(전통시장·상점가 등, 유효기간 5년)


1. 카드사별 등록 방법 (진짜 간단)

온라인 방법

상생페이백은 카드사 앱마다 따로 신청하는 게 아니라, 한 번만 이렇게 하면 끝입니다.

  1. 상생페이백.kr 접속 → 본인인증

  2. 약관 동의 + 기본정보 입력

  3. 디지털 온누리 앱 연동

    • 이미 회원이면 바로 연동

    • 비회원이면 '상생페이백 누리집'에서 가입 연결 (최대 2일 소요)

그 뒤로는 본인 명의 '개인' 신용·체크카드가 자동 합산돼요.
따로 '대표카드'를 고르거나 카드사별로 또 신청할 필요는 없습니다.

포함 카드: KB·신한·우리·하나·농협·삼성·현대·BC·롯데 + 제휴 은행/증권 다수

제외: 법인카드, 기프트카드, 지역화폐, 바우처 등 특수 목적 카드


오프라인 방법

  • 전통시장 상인회·소상공인지원센터·지방중기청(평일)에서 신청 지원

  • 국민·우리·농협·농축협 영업점에서 안내 가능


60세 이상 어르신들 중 온라인 신청이 어려우신 분들은 오프라인 신청 지원을 하실 수 있으세요. 가까운 소상공인센터 등 신청지원처에서 휴대폰과 본인 명의 신용카드를 지참해 방문하시면 안내와 접수를 도와주십니다. (일부 은행은 지원이 잘 안되는 듯 하다고 하니, 소상공인센터 등에서 지원해보시는것을 추천드립니다)


2. 카드 변경 방법

  1.  '디지털온누리 상품권 앱'에서 카드 및 번호 변경 가능.

  2. 디지털 온누리 상품권 관련 유선 문의

    • 개인고객 : 1670-1600

    • 기업고객 : 1670-4007


자세한 카드 변경 방법은 따라하시기 쉽게 사진과 함께 아래에 설명해놓았습니다.


  • 프로그램 구조상 특정 카드 한 장만 쓰는 게 아니에요.

    내 이름으로 된 카드 전체가 자동 반영됩니다.

  • 새 카드를 만들었다면 온누리 앱에 카드 등록만 최신화 해두세요.

  • 카드 해지해도 해지 전 쓴 금액은 실적 포함(단, 카드사에 본인 신용정보 ‘삭제’ 요청까지 하면 제외될 수 있어요).


3. 카드 여러 개 등록 가능한가요?

  • 1인 10장까지 등록 가능합니다.

  • 여러 카드/여러 카드사 모두 본인 명의면 합산 OK

  • 가족카드카드 ‘명의자’ 실적으로 들어갑니다.

    • 예) 배우자 명의 가족카드를 내가 써도 → 배우자 실적으로 합산


위 카드 변경 방법과 같습니다.


4. 카드 실적 계산, 예시

  • 비교 기준: ’24년 ‘월평균’’25년 9·10·11월 ‘각 월’

  • 증가분의 20% 환급, 월 10만 / 총 30만 한도


예시

  • ’24 월평균: 100만 원

  • ’25.10 카드 사용: 130만 원

    • 증가 30만 원 × 20% = 6만 원 환급(11/15 지급 예정)


할부 결제

  • 결제월에 전액 반영(9월에 100만 원 3개월 할부 → 100만 원 전액이 9월 실적)


5. 카드 합산, 이 부분만 조심!

포함되는 결제 (핵심)

  • 전통시장·상점가 등 중소·소상공인 매장(중견 포함)

  • 프랜차이즈 가맹점 전반(단, 대기업 ‘직영점’은 제외)

  • 개인의원·개인병원(개인사업자 운영)

  • 자영 주유소/충전소

  • 오프라인 삼성페이/애플페이(가맹점 정보 식별 가능 시)

  •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‘실물카드’로 매장 단말기 결제

  • 정부·지자체 바우처 카드(국민행복·문화누리 등)


제외되는 결제(자주 헷갈리는 곳)

  • 대형마트·SSM·창고형·백화점·아울렛·복합몰

  • 온라인몰/PG·배달앱 결제

    • 단, 배달앱 ‘만나서 결제’ + 매장/배달대행 단말기면 포함 가능

  • 대기업 브랜드 프랜차이즈 ‘직영점’

    • 예) 스타벅스·맥도날드·버거킹·롯데리아·올리브영·정관장·교보문고 등

  • 명품/신차, 대형 전자·가구 직영(삼성스토어·LG베스트샵·애플스토어·하이마트·이케아 등)

  • 해외 결제/직구, 지역화폐, 현금/계좌이체, 간편결제(가맹점 식별 안 되는 PG형)

  • 자동이체(통신료·지하철·시내버스·하이패스 등)


6. 신청·확인·소급, 이렇게만 기억!

  • 신청: 9.15(월) 09:00 ~ 11.30(일) 24:00 (9.20이후부터 요일제 제한없이 언제든지 신청 가능)

  • 확인: 상생페이백.kr 로그인 →

    • ’24 월평균: 9/17부터 순차 조회

    • ’25 월별 실적/환급액: 9/18부터 순차 조회

  • 소급: 11월에 신청해도 9~10월 증가분이 있으면 소급 지급

  • 취소: 누리집에서 직접은 불가 → 콜센터 1533-2800 (취소확인서 제출)


7. 받는 방법 (언제·어디로·얼마나)

  • 언제: 10/15(9월분) · 11/15(10월분) · 12/15(11월분)

  • 어디로: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지급(앱에서 바로 사용 가능)

  • 얼마나: 증가분의 20%, 월 10만 / 총 30만 한도

  • 유효기간: 지급일로부터 5년(페이백 상품권이 구매충전분보다 먼저 사용돼요)

  • 양도: 불가(개인 증가 소비에 대한 보조금 성격)


8. 자주 묻는 질문


Q. 카드 여러 개 등록되나요?

A. 네, 본인 명의 개인카드는 전부 자동 합산됩니다.


Q. 가족카드 실적은 누구에게 가나요?

A. 카드 ‘명의자’에게 들어갑니다.


Q. 온라인·배달앱 다 제외인가요?

A. 기본적으론 제외됩니다. 배달앱 ‘만나서 결제’ + 매장/배달대행 단말기면 포함 가능.


Q. 병원비는?

A. 개인의원·개인병원은 포함, 의료법인 운영 종합병원 등은 제외.


Q. 주유는?

A. 자영 주유소/충전소 포함, 대기업 직영·농협 주유소/충전소 제외.


Q. 할부는 어떻게 반영되나요?

A. 결제월에 전액 반영됩니다.


9. 실전 꿀팁

  • 이번 달은 온라인/대기업 직영 결제 줄이고, 소상공인 매장·자영 주유소·동네 병원 위주로 쓰기

  • 배달앱은 만나서 결제 활용

  • 온누리 앱 카드 등록 최신화 + 상생페이백.kr에서 예상 환급액 주간 점검


콜센터 (저장해두면 편해요)

  • 상생페이백: 1533-2800

  • 디지털 온누리(조폐공사): 1670-1600

  • 카드사(실적 문의): 국민 1588-1688 / 신한 1544-7000 / 우리 1588-9955 / 하나 1800-1111 / 현대 1577-6000 / 삼성 1588-8700 / 롯데 1588-8100 / BC 1566-4800·1588-6374 / NH 1644-5330

댓글 쓰기

0 댓글

신고하기

이 블로그 검색

태그

이미지alt태그 입력