가성비 금투자 3가지 방법 : 금통장, ACE, KRX 금현물거래(ETF)

 

KRX금현물거래

금 투자, 왜 가성비가 중요할까?


최근 금값이 꾸준히 오르면서 “금테크”를 시작하려는 분들이 많습니다. 하지만 막상 실물 금을 사려면 부가세 10%와 공임비, 수수료까지 붙어서 생각보다 비용 부담이 커지죠.

그래서 요즘은 실물 금을 직접 보관하지 않고도, 저비용으로 금 시세에 투자할 수 있는 가성비 금 투자 방법이 주목받고 있습니다.


1. 금통장 (은행 골드뱅킹)

많은 사람들이 처음 접하는 금 투자 방식이 바로 은행 금통장입니다. 국민은행, 신한은행 등 주요 시중은행에서 서비스 중이고, 주식처럼 0.01g 단위로 금을 사고팔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에요.


장점

  • 초소액 투자 가능: 0.01g 단위 거래 가능 → 몇 천 원으로도 시작 가능

  • 편리한 거래: 은행 앱에서 원화로 바로 매수·매도 가능

  • 실물 보관 부담 없음


단점

  • 수수료 부담: 거래 시 약 1% 수수료 발생

  • 세금 문제: 매매차익에 대해 15.4% 배당소득세 원천징수

    • (배당소득세 14% + 지방소득세 1.4%)

  • 실물 인출 불가: 대부분 은행 금통장은 원화 출금만 가능

👉 즉, 금통장은 편리함은 있지만 수수료·세금 부담이 크다는 점을 꼭 고려해야 합니다. 장기 투자보다는 “금테크 입문용”으로 적합합니다.


2. ACE 금 ETF & KRX 금 현물거래 (증권사)

(1) ACE 금 ETF

ACE KRX금현물 ETF는 한국거래소 금 현물 가격을 추종하는 ETF입니다. 주식처럼 증권사 MTS에서 쉽게 거래할 수 있고, 소액 투자에도 유리합니다.

  • 장점

    • 소액으로 시작 가능 (1주 단위)

    • 주식처럼 간편하게 매수·매도

    • 실물 보관 필요 없음

    • 매매차익은 양도소득세 과세 (비과세 한도 활용 가능)

  • 단점

    • 실물 인출 불가

    • 주식시장 변동성에 따라 단기 가격 출렁임 가능

    • 배당소득세(15.4%) 부과 가능

    • 금값을 100% 추종하지 못할 수 있음 (ETF 구조적 한계)


(2) KRX 금 현물거래

KRX 금시장은 한국거래소가 운영하는 공식 금 현물 시장입니다. 증권사에서 금 현물 계좌를 개설하면, 1g 단위로 금을 사고팔 수 있고 필요 시 실물 인출도 가능합니다.

  • 장점

    • 1g 단위 소액 거래 가능

    • 낮은 수수료: 약 0.3% 수준 (1g당 약 300원)

    • 세금 면제: 종합과세, 양도소득세, 배당소득세, 부가가치세 모두 면제

    • 투명한 시세: 경쟁 매매 방식으로 거래, 가격 신뢰도 높음

    • 고품질 금: 한국조폐공사가 인증한 99.9% 순도의 금 거래

  • 단점

    • 실물 인출 시 100g 또는 1kg 단위로만 가능

    • 인출 시 부가세 10% 부담

👉 금통장보다 수수료와 세금 측면에서 훨씬 유리하고, ETF보다 실물 인출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가성비 최고의 금 투자 방식으로 평가받습니다.


3. 앱테크 금 투자

최근에는 토스, 카카오페이, 시럽 같은 앱에서도 ‘소액 금 투자 서비스’를 제공하고 있습니다. 커피 한 잔 값으로도 금을 살 수 있어서, 특히 MZ세대가 부담 없이 금테크를 경험하기 좋은 방식입니다.

저의 경우엔 주거래은행인 국민은행에서 포인트를 모아 조금씩 금을 사 모으고 있습니다.


장점

  • 소액 적립식 투자 가능 (1천 원부터 시작)

  • 앱 내에서 간편하게 매수·매도 가능

  • 이벤트·적립금과 연계해 재미를 주는 요소

단점

  • 수수료 구조가 다소 불투명

  • 장기 보관보다는 경험·체험용에 가까움

👉 큰 수익을 기대하기보다는, “금 모으기 경험용”으로 적합한 방법입니다.


가성비 금투자 방법 비교

구분

금통장

ACE 금 ETF

KRX 금 현물거래

앱테크

최소 단위

0.01g

1주

1g

1,000원~

수수료

약 1%

증권사 수수료

약 0.3%

앱별 상이

세금

배당소득세 15.4%

양도소득세 / 배당소득세 가능

세금 전면 면제

앱별 상이

실물 인출

불가

불가

가능 (100g 이상, 부가세 10%)

일부 불가

특징

가장 대중적, 간편

주식처럼 거래, 추종 오차

가성비 최고, 세금 無

체험·소액 투자

👉 정리하면, 편의성과 접근성은 금통장, 가성비와 세금 혜택은 KRX 금 현물거래, 소액 체험은 앱테크가 각각 장점이 있습니다.


Q&A

Q1. 금통장으로 금을 사면 실제 금을 받을 수 있나요?

👉 아니요. 대부분 은행 금통장은 실물 인출이 불가능하고, 원화 출금만 가능합니다.

Q2. KRX 금 현물거래는 어떻게 시작하나요?

👉 증권사 계좌에서 KRX 금 현물 거래 신청 후, 1g 단위로 매매 가능합니다. 다만 실물 인출은 100g 이상부터 가능하며 부가세 10%가 붙습니다.

Q3. 금 투자 중 가장 가성비 좋은 방법은 무엇인가요?

👉 장기적·가성비 관점에서는 KRX 금 현물거래가 가장 유리합니다. 다만 접근성과 간편성을 원한다면 금통장이나 앱테크도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.


저도 처음에는 어떤 방식이 좋을지 고민이 많았지만, 하나씩 경험해보면서 제 투자 스타일에 맞는 방법을 찾는것이 최선일것이라 생각합니다.

이 글을 읽으신 분들도, 여러 투자법을 비교해보고 자신에게 맞는 합리적인 금 투자 방법을 발견하시길 바랍니다.


댓글 쓰기

0 댓글

신고하기

이 블로그 검색

태그

이미지alt태그 입력