물가도 오르고 살림살이도 팍팍한 요즘, 살림에 도움이 되도록 정부가 6월 19일에 '민생회복지원금(소비쿠폰)'2차 추경안을 확정했어요.
특히 건강보험료 상위 10%는 2차 지원금에서 제외된다고 하는데요, "과연 나는 추가 10만 원, 받을 수 있나?" 궁금하신 분들이 많으시죠?
건강보험료 기준과 연봉 계산법을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했습니다.
추가 지원금 받을 수 있는지 확인하기!
📌 전국민 25만원 지급 대상·시기
2025년 민생회복지원금은 고물가와 내수 침체로 어려운 국민들을 위해 마련된 전 국민 대상 지원 정책입니다. 7월 중순부터 지급이 시작될 예정이며, 총 2단계로 나눠 진행됩니다.
✅ 1차 지급
- 대상: 전 국민 누구나
- 금액: 1인당 15만 원
- 추가 지급 대상:
- 기초생활수급자: 40만 원
- 차상위계층: 30만 원
- 인구소멸지역 거주자: 추가 2만 원
✅ 2차 지급
- 대상: 건강보험료 기준 소득 하위 90%
-
금액: 추가 10만 원 → 총 25만 원
➡️ 단, 소득 상위 10%는 제외됩니다.
지급 방식은 카드 포인트, 선불카드, 지역사랑상품권 중에서 선택 가능하고, 사용 기한은 약 4개월입니다. 신청은 정부24에서 포털에서 가능하며, 기초수급자나 차상위 계층은 별도 신청 없이 자동으로 지급됩니다.
💡 소득 상위 10% 기준?
정부는 2차 민생지원금 지급 때 소득 상위 10%는 제외하겠다고 했어요. 그 기준은 바로, 건강보험료에요.
내가 매달 내는 건강보험료가 일정 금액 이상이면 정부는 나를 “소득이 높은 사람”으로 보고 추가 10만 원은 안 준다는 거에요.
여기서 중요한 건, 이 건강보험료는 월급만 보고 계산하는 게 아니고, 사업소득, 부동산, 자동차, 예금·주식 같은 금융 자산까지 다 따져서 산정해요.
그래서 “나는 연봉은 그리 높지 않은데도 왜 상위 10%냐?”이런 억울함(?)이 나올 수 있는 구조에요.
💸 건강보험료 상위 10% 기준 금액은?
2025년 기준으로, 건강보험료 납부액이 다음 기준을 넘으면 상위 10%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:
- 직장가입자: 월 273,380원 이상
- 지역가입자: 월 209,970원 이상
👉 특히 월 40만 원 이상 납부하고 있다면 상위 10%일 가능성이 높다고 보시면 됩니다.
지역가입자는 단순히 소득만 보는 게 아니라, 15억 원 넘는 부동산이나 연 2천만 원 넘는 금융소득도 포함돼요. 그래서 소득이 적어 보여도, 자산이 많으면 상위 10%로 분류될 수 있어요.
📈 건강보험료 상위 10% 연봉 기준은?
직장인의 경우 건보료로 상위 10%에 해당하는
연봉은 약 7,700만 원 이상입니다.
월
급여로 보면 800만 원 전후가 기준이 될 수 있습니다.
월급여 | 예상 건강보험료(본인 부담) | 추정 연봉 |
---|---|---|
600만 원 | 약 21만 3,000원 | 약 7,200만 원 |
700만 원 | 약 24만 8,000원 | 약 8,400만 원 |
800만 원 이상 | 27만 3,380원 이상 | 약 7,700만 원 이상 |
🧮 건강보험료는 어떻게 계산될까?
건강보험료는 소득과 자산을 바탕으로 산정됩니다.
✅ 직장가입자
- 보험료율: 총 7.09% (근로자 3.545% + 회사 3.545%)
- 예: 연봉 7,700만 원 → 월 소득 약 641만 원 × 7.09% = 약 45만 원
- 본인 부담: 약 22만 7,000원
✅ 지역가입자
- 소득 + 부동산 + 자동차 + 금융자산 등을 점수화하여 산정
- 고가 부동산이나 고액 금융자산 보유자는 소득이 낮아도 상위 10%에 포함될 수 있음
👉 정확한 건보료는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서 '보험료 모의계산'으로 확인해 보세요.
📄 건강보험료 소득 기준표 (2025년 기준, 추정)
가입자 유형 | 월 보험료 기준 | 추정 연소득 |
---|---|---|
직장가입자 | 27만 3,380원 이상 | 약 7,700만 원 이상 |
지역가입자 | 20만 9,970원 이상 | 자산 포함 평가 대상 |
👉 지역가입자의 경우, 자산(부동산, 자동차, 금융자산)등 여러 요소를 종합 평가하므로, 단순히 연봉만으로 상위 10% 여부를 판단하긴 어렵습니다.
이번 민생지원금은 건강보험료 납부 금액을 기준으로 상위 10%는 제외되기 때문에, 내가 해당하는지 꼭 확인해보는 게 중요합니다.
건강보험료가 상위 10%에 해당하는지 지금 바로 확인해보세요!
0 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