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기요금 부담돼서 에어컨조차 마음 편히 못 켜는 여름, 이젠 참지 마세요.
정부랑 한국전력공사가 이런 부담을 덜어주려고, 전기요금 복지할인 제도를 다양하게 운영하고 있어요.
아래 내용을 통해 전기요금 복지할인 대상과 혜택 한도까지 한 번에 확인해보세요!
빠르게 감면 혜택을 원하시면 아래에서 확인하세요.
1. 전기요금 감면 대상 · 할인 내용
| 감면 대상 | 할인 내용 |
|---|---|
| 장애인 |
기본 한도 16,000원 감면
(여름철 20,000원)
|
| 국가유공자 및 상이유공자 |
기본 한도 16,000원 감면
(여름철 20,000원)
|
| 독립유공자 |
기본 한도 16,000원 감면
(여름철 20,000원)
|
| 기초생활수급자 (생계·의료) |
기본 한도 16,000원 감면
(여름철 20,000원)
|
| 기초생활수급자 (주거·교육) |
기본 한도 10,000원 감면
(여름철 12,000원)
|
| 차상위계층 |
기본 한도 8,000원 감면
(여름철 10,000원)
|
| 사회복지시설 | 전력량 요금의 30% 감면 |
| 대가족·다자녀·출산가구 |
전기요금 30% 감면
(기본 한도 16,000원)
※ 기본요금 + 전력량 요금 모두 적용
|
| 생명유지장치 사용 가구 |
전기요금 30% 감면
(할인한도 없음)
|
지금 전기요금 감면 혜택 신청하면, 덥고 답답한 여름을 더 시원하게 보낼 수 있어요.
소득과 가족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니, 내게 해당되는 혜택은 꼭 신청해보세요!
2. 전기요금 감면 신청방법
다음과 같은 채널을 통해 신청이 가능합니다.
- 전화: 한국전력 고객센터 123
- 오프라인 방문: 주민센터 또는 한전 지사
- 온라인 (홈페이지 또는 모바일 앱) 정부24, 한전 ON홈페이지 / 앱 '한전 ON'
2. '민원신청' 메뉴 클릭
3. '복지할인' 카테고리로 이동
4. 복지할인 페이지 하단, 오른쪽 버튼 '복지할인 신청' 클릭
💡 특히 대가족·다자녀·출산가구는 아파트 관리사무소에서도 신청할 수 있으며, 해당월 전기요금의 30% 감면, 월 최대 16,000원 한도로 적용됩니다.
3. 구비서류 안내
✅ 기본서류 (공통)
- 전기요금 할인 신청서
- 복지할인 신청서
- 주민등록등본 (사회복지시설은 제외)
- 전기요금 영수증 사본
✅ 증빙서류 (대상별)
- 독립유공자: 독립유공자증
- 국가유공자·상이유공자: 국가유공자증 / 5.18 민주유공자증
- 장애인: 장애인 복지카드
- 사회복지시설: 사회복지시설 신고증
- 기초생활수급자(주거·교육): 수급자 증명서
- 차상위계층: 차상위계층 확인서
✅ 추가서류 (해당시)
- 실거주 확인서 (주민등록 주소지와 실제 거주지가 다른 경우)
4. 추가로 신청 가능한 전기요금 혜택
💡 전기요금 복지할인과 별도로, 정부에서는 에너지 취약계층에게 전기·도시가스 요금 일부를 지원하는 에너지바우처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.
지원 대상 :
- 기초생활수급자
- 영유아 포함 가구
- 만 65세 이상 노인
- 등록 장애인
- 한부모 가구 등
- 읍면동 주민센터 혹은, 에너지바우처 누리집 웹사이트에서 신청 가능합니다.
📌 전기요금 감면과 에너지바우처는 중복 신청이 가능하므로, 두 혜택을 동시에 활용하면 전기요금 부담을 더욱 줄일 수 있습니다.
지금이 신청 기간이니 놓치지 말고 기간 내에 신청하세요!
5. 꼭 알아두세요!
- 이사 등 거주지에 변화가 생긴 경우, 반드시 한전에 변경 신청을 해야 감면 적용이 유지됩니다.
- 차상위계층 확인서는 1년간 유효하며, 이후에도 감면을 받으려면 재신청이 필요합니다.
- 생명유지장치 복지할인은 할인한도 없이 30% 감면되며,
- 신청은 행정기관 또는 장비 임대업체를 통해 대행도 가능합니다.
- 처방전 또는 진단서 기준으로 주기적 재신청이 필요합니다.
전기요금 복지할인은 몰라서 못 받는 경우가 많은 실질적인 혜택입니다.
조건에 해당된다면 꼭 신청하시고, 에너지 비용을 절감해보세요! 😊





0 댓글